top of page

Politics - 정치

공개·회원 1명

☆미&한 조선업 협력 물건너 갔구나!


APEC 미방한 앞서

일본에 3일 머무르고


한국엔 그냥 중요 행사가 있음에도

잠시 들렀다 중국으로 간다


하아~

이건, 마스가 프로젝트가 물건너 갔다는 거다


유사시 우방국에 핵무기를 주겠다 공식화했고

그럼, 반미친중 정부 한국엔 안 준다! 이게 되는 거고,


그럼, 핵무기도 일본으로 가는 거고,

조선업도 일본으로 가는 거고.


협약도 일본은 했지만, 한국은 결렬이잖아.

이거는, 너무 뻔한 계산인데?


통화스와프도 물건너 가는 거고,

이제 관세 폭탄 남는 거고,


환율 오르고. 금값 오르고, 유가 오르고.


친중반미로 행위로, 그리고 이재명의 과거 행적으로.

한국은 6개월 만에 아주 아작이 나는구나!


뭐, 한국 아작난다고 물러날 사람도 아니고!

국민만 죽어나는구나!!


야이 개딸들아!!!!!!!!!!!!


왜 또 거꾸로냐, 트럼프 탓이 아니고..

이재명과 민주당의 친중반미가 이꼴을 내는 거라고!!


위와 같은 일렬의 문제들이 일어나지 않았을 수도?

윤석열 있었으면, 잘 진행될 문제였을 걸?!


이거는 미국의 군사&우주 문제라!

우주도 일본이 앞서고, 군사 ← 조선업.


이러면, 조선업을 중국이랑?

이 부분은, 잘 모르니까.. 아래 문서를 참조.


중국으로 갈 일이 없어야 마땅할 거니까..

일본에서 매우 흥하게 될 수 밖에??


아래 보면, 일본이 캐퍼시티가 안 되고..

그럼, 중국이랑. 대신 중국과 뭘 맞바꾸려 하겠네???


ree


중국과의 조선 협력 장애는 아래와 같다.

뭔지 모르겠지만 3초 내지 5초 보면.. 군사&지리 이런 거고..


그렇다면, 반드시 중-북 중요 빅카드를 꺼낼 수 밖에 없는 거고!?


지극히 사적 시선으로 보면(시진핑 긍적적 시선을 본 적도 있고) 중국은 땡큐고, 이거 확실하다 본다!!! 뭐가 있을 지는 몰라도...




현재의 국제정치 상황에서 미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간의 직접적인 협력 가능성매우 제한적입니다. 두 나라는 수십 년간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북한의 핵무기 개발로 인해 관계가 경색되어 있습니다.


협력의 가능성은 주로 북한의 비핵화와 관련된 논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1. 현재 협력의 주요 장애물


미국과 북한이 협력하기 어려운 근본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북한의 핵무력 강화: 북한이 핵·미사일 개발을 지속하고 이를 국가 방위력의 핵심으로 간주하는 한, 미국은 북한을 안보 위협으로 규정하고 강력한 제재(Sanction)를 유지할 수밖에 없습니다.

  • 미국의 대북 정책 기조: 미국은 북한의 최종적이고 완전히 검증 가능한 비핵화(FFVD)를 목표로 하며, 비핵화 진전 없이는 실질적인 경제적 협력이나 제재 완화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 북한의 대미 불신: 북한은 과거 협상(예: 하노이 회담 결렬)의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과의 협상에 대한 불신이 깊으며, '단계적·동시적' 행동을 통해 체제 안전 보장과 제재 완화를 얻어내려 합니다.


2. 잠재적인 협력 분야 (비핵화 전제)


만약 양국이 대화 채널을 재개하고 비핵화 진전에 합의할 경우,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는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A. 안보 및 평화 체제 구축


  • 비핵화 관련 협력: 핵 프로그램 동결, 사찰 수용, 핵 물질 폐기 등 실질적인 비핵화 조치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미국은 기술적 지원 및 검증에 협력할 수 있습니다.

  • 평화 체제 전환: 종전 선언, 평화 협정 체결 논의 등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 완화 및 항구적 평화 체제 구축을 위한 협의.


B. 경제 및 인도주의 지원


  • 제재 완화/해제: 북한이 비핵화 조치를 취하면, 미국은 단계적으로 경제 제재를 완화하거나 해제할 수 있습니다.

  • 경제 개발 지원: 대규모 인프라(에너지, 자원, 교통) 개발, 북한 주민 생활 개선을 위한 경제 개발 및 투자 지원(트럼프 1기 당시 논의된 분야).

  • 인도주의적 협력: 보건, 식량, 재난 구호 등 정치적 상황과 관계없이 진행될 수 있는 분야에서의 지원 및 협력.


C. 기타 협력


  • 신흥 안보: 사이버 안보 등 새로운 안보 위협에 대한 신뢰 구축 조치나 역량 강화 협력 논의 (매우 초기 단계일 수 있음).

  • 유해 발굴: 한국 전쟁 중 사망한 미군 유해 발굴 작업 재개 및 협력.


3. 한-미 조선(造船) 산업 협력 (참고)


'조선'이라는 단어를 '선박 건조 산업(Shipbuilding)'으로 해석할 경우, 미국과 한국(대한민국) 간의 조선 산업 협력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게 진행 중입니다.


이는 미국 정부가 자국의 해군력 증강 및 방위산업 기반 재건을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과 인력을 보유한 한국 조선업과의 협력을 모색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목표: 한국의 첨단 건조 기술과 인력을 활용하여 미 해군 군함의 건조, 수리, 개량 등을 추진.

  • 주요 논의: 미국의 '번스-톨레프슨법' 등 군함 해외 건조 금지 규제 완화, 선박 부품 공급, 한국에서의 선박 블록 생산 후 미국 내 조립 방식 등.


따라서 질문에서 '조선'이 '북한(DPRK)'을 의미한다면 협력은 어렵지만, '조선업(造船業)'을 의미한다면 한국과의 협력은 매우 중요한 의제입니다.


한국 규제 문제


중국 경제 심각하고!!


https://youtu.be/n97InXg_lmU?si=WkEd8GNE0mjoSjHs


미중 조선업 협력은 100%?

확정이 아니면 이 분위 안 될 수가 없는!


중국은 나중에 끝나지!

왜다??



30회 조회
bottom of page